우리밀 동향

우리밀 동향

우리밀을 매개로 먹을거리 이해와 확산에 힘쓰는 우리밀 세상을 여는 사람들의 회원 및 후원자가 되어 주십시오.
회원분은 소통방 ‘회원 알림과 소식’서 활동을 공유하며, 사업자 회원은 ‘우리밀 공간’에서 사업장을 소개할 수 있습니다.

우리밀의 역사적 전개과정 그리고 가치사슬별 운영의 현재와 발전과제

우리 정부는 농림축산식품부는 2007/8년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주구장창 밀 자급률 향상을 외치고 있다.

그렇지만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성과는 너무나 미미하다. 

정부에서 목표를 제시하고, 생산ㆍ소비를 독려하는 만큼 소폭이나마 늘어나야 할 터인데, 실상은 전혀 그러지 못했다.


71a28d16a001bd67fce36223ae84c5d5_1613608334_836.png


최근 수년은 오히려 자급률 목표에 역행하는 모습까지 나타나고 있다.

지구온난화, 기후변동에 의한 최장 장마가 엄습한 2020년은 아직 통계에 들지 않았지만 

관련 통계를 종합할 때, 식용밀 수입 250만 톤 이상 그리고 국내 생산 1.2만 톤 등을 고려할 때 0.5% 미만으로 떨어질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. 



이 글 첨부파일 다운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보실 수 있습니다.



71a28d16a001bd67fce36223ae84c5d5_1613605714_3846.png



이런 와중에 정부는, 농림축산식품부는 다시 오는 2025년 5%, 2030년 10% 밀 자급률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.

이를 받침한다고 밀산업육성법도 제정하고, 이에 기초한 법정 계획으로 밀산업 육성 기본 계획도 발표했다. 


법도 만들어지고, 이에 기초한 법정계획까지 세워졌으니 이제 좀 달라지지 않을까?

달라져야 하지만, 법 제정 후 그리고 밀산업육성기본계획 마련 첫해인 2021년 현재 우리밀이 다시금 과연 그럴 수 있을까 묻는 형편이다. 당장 법 제정 후 밀산업육성계획이 마련 중인 지난 가을 파종이 올해 목표한 생산에 이르지 못하는 모습이다.


법도 만들어지고, 계획도 세워졌는데, 왜 이런 모습일까? 


여러 원인이 있겠지만, 가장 큰 원인은 우리밀의 현재에 대한 냉철한 파악이 부재한 중에 

그저 구호로만 자급률 신장을 이야기 하고 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.


가격과 품질 경쟁력 확보를 이야기하고 있지만, 너무 추상적으로 접근하는 모습이다.

밀 소비의 실제는 소비자 개인이 오늘부터 '우리밀 소비를 결의 또는 결심'한다고 자급률이 오를 수 없음을 잘 말해준다.


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소비를 자랑하는 라면

그런데 왜 농심과 오뚜기는 왜 우리밀 소비에 나서지 않을까? 

이 물음에 진지한 답 그리고 개선 과제 마련이 자급률 제고의 출발점이라 여겨진다. 


우리밀은 연간 2천~5천 만 톤 이상의 밀을 생산하며, 거기에 걸맞는 인프라를 갖추고 세계 시장을 공략하는 미국, 호주, 캐나다 밀과 맨몸으로 시장에서 맞서는 모양이다. 

수만 톤 되는 어마어마한 짐을 미국, 호주, 캐나다 등은 콘테이너에 담아 대형 트레일러로 나르는 마당에, 우리는 5살 배기 아이에게 지게 하나를 들려주고 저들 만큼 아니어도 좋으니, 저만큼 만이라도 날라보라는 주문이다.


이 차이를 어떻게 극복하고, 우리밀 만의 우리밀다움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한 때이다.


이 글은 이 논의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 차원에서 마련된 것이다.



71a28d16a001bd67fce36223ae84c5d5_1613608853_8457.png
 


'. 우리밀 기원과 전개과정'에서 잘 나와있듯이 


오늘의 우리밀 빈곤, 결코 우리밀이 못난 때문이 아니다. 

해방이후 지금까지 오로지 수입밀 만을 위해 복무한 정책이 만들어낸 우리의 과오이다.

우리와 유사한 여건에서 자급률 12~16% 유지하고 있는 일본 사례가 이를 잘 말해 준다.


자급률 목표 10%. 이 수치는 아마도 이것은 이웃 일본의 현재를 참조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.

그 연장에서 미국, 호주, 캐나다에 이르지는 못할지라도 밀산업에 대한 관심이 일본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자연스레 갖게 한다. 이에 글은 이와 관련해 참조할 일본 밀 사례도 간략히 다루고 있다. 


아무쪼록 이 글이 제대로의 우리밀 발전의 중요 밑거름이 되었음 하는 바람이다.



최고의 우리밀 사랑은 소비!!


온 세상 우리밀이 함께하는 우리밀세상협동조합


www.woorimil.shop


Comments